quick

  • 보도자료
  • 홍보자료

홈 > 홍보센터 > 보도자료

전기신문 보도자료
작성자 퓨어
등록일 2013-11-16
조회수 5,942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C공감
윤석구 에너지진단협회 회장
"에너지 진단, 에너지 절약의 첫 단계"
품질·가격문제 해결 위해선 제도개선 절실



 
“에너지 진단비용은 ‘버려지는 돈’이 아닙니다. 또 다른 비용을 줄이려는 일종의 투자죠. 에너지 절약에 대한 중요성이 요즘처럼 강조됐던 적도 없는데 에너지 진단에 대한 관심은 그에 미치지 못 하고 있어요. 개인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매우 안타까운 일입니다.”
에너지진단은 사업장의 에너지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손실요인을 찾아 에너지절감을 위한 최적의 개선안을 제시하는 기술컨설팅이다. 에너지절약의 기반이 되는 단계지만, 이를 5년에 한 번씩 받아야 하는 번거로운 일 정도로 여기는 에너지사용자도 적지 않다. 형식적으로 진단을 실시하고 절감 개선안이 담긴 보고서는 서랍 깊은 곳에서 빛을 보지 못하는 경우도 허다한 상황.
윤석구 에너지진단협회장(구성E&C 사장)은 실효성 있는 진단이 이뤄지려면 가격정상화와 품질안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진단기법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에너지 진단 시장은 수요자 중심의 가격결정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가격이 떨어질 대로 떨어져있죠. 진단 가격을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공정거래에 어긋난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현재의 가격이 적정한 것이냐’에 대해서는 논의가 가능하다고 봅니다. 과도하게 낮은 가격은 결국 진단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가격이 지나치게 낮게 형성되다보니 새로운 진단기법에 대한 연구개발은 엄두도 못 낸다.
윤 회장은 “예전에는 진단업체들이 해외에서 프로그램을 도입해 실제 현장에 적용해보기도 하고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려고 했지만, 현재는 지나친 저가경쟁 때문에 여력이 없다”고 말했다. 가격 폭락이 품질 향상을 방해하고, 결국 진단업계의 발전을 가로막는 악순환에 대한 아쉬움이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최저가낙찰제가 아닌 적격심사제를 도입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정기간 진단업무를 수행하지 않은 업체는 등록을 취소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더불어 진단기관이 저자세로 진단을 수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은 진단 결과 10% 이상의 에너지효율 개선이 기대되면 개선명령을 할 수 있도록 돼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런 경우는 없죠. 진단 결과에 에너지 누수분이 높게 나오면 사업장의 설비관리자가 곤란해지니까요. 불편한 항목은 빼고, 몇 가지 아이템으로 진단하고 보고서를 작성해서 마감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갑을관계가 명백하기 때문이죠. 진단사들이 전문성을 갖고 봤을 때 실제 절감요소가 있다고 하면 그 부분은 정확하게 컨설팅해주고 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돼야 합니다.”
이를 위해 건설공사의 감리제도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는 게 윤 회장의 설명이다. 공사비용은 건설회사가 주지만 허가관청에 예치해 적합한 감리기관을 선정하면 갑을관계에 의한 부실진단 문제를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업종별로 특정 진단항목이 있기 때문에, 의무 진단이 실시된 지 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이를 매뉴얼화하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윤 회장의 생각이다.
그는 올해 에너지 진단업계의 발전을 위해 협회 차원에서 다양한 일을 수행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특히 진단 보고서 검증과 관련된 사후관리를 협회에서 담당한다면 진단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거라고 내다봤다.
“에너지 진단은 에너지 절약으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단계죠. 그만큼 진단 품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제도를 운영하는 게 중요합니다. 업계도 반성할 부분은 반성하고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하고요. 에너지진단협회는 앞으로도 풍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에너지 진단이 에너지 절약으로 이어지도록 뒷받침하겠습니다.”
박은지 기자 (pej@electimes.com)
최종편집일자 : 2013-01-09 08:49:09
최종작성일자 : 2013-01-08 09:54:31

목록

다음글 | 투데이에너지 보도자료
이전글 | 대한뉴스 보도자료